금융

청년도약계좌 100만명 돌파! 신청 조건 가입금액 신청방법 청년희망적금 특징 금리

경제적 자유인입니다 2023. 7. 13. 00:29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하여 10년 만기 1억 원의 저축 상품을 약속 한 바 있습니다.

이 공약을 다듬어, 23년 6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가입금액 신청방법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청년도약계좌란?
  • 청년도약계좌 특징
  • 청년도약계좌 금리
  •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 청년도약계좌 가입금액
  • 청년도약계좌 지원 금액 (정부 기여금)
  •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가능?
  •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 청년도약계좌 마이너스 통장
  • 청년도약계좌 유의점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이 중장기 목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증식 목적의 금융 상품입니다.

 최대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 원의 큰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특징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40 원에서 최대 70 원까지 납입할 있고, 정부가 3~6% 지원금을 보태줍니다. 여기에 5년간 더해지는 은행 이자도 기대할 있습니다.

 

금리 은행별 상이 (아래 금리 표 참고)
기간 5년
월 납입 금액 소득 기준 월 40만원 ~ 최대 70만원
정부 지원금  납입액의 3~6% 정보 보조금 지원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안전한 자산 형성을 위해 금리 변동에 의한 위험을 막고자 최소 3년간 고정 금리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가입 3년은 고정된 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은행별 제공하는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조건이 달라 주거래은행 여부, 우대 조건 달성 여부 등을 따져 나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가입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은행 기본금리 은행별 우대 금리 및 우대 조건
NH 농협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신한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우리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하나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IBK기업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KB국민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DGB대구은행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BNK부산은행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광주은행 3.80% 우대금리 최대 1.70%p
전북은행 3.80% 우대금리 최대 1.70%p
BNK경남은행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 청년을 위한 추가 이자 지원도 있습니다.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를 진행하고,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과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1,600만 원 이하인 경우 대상입니다.

 

소득요건
충족횟수
5회 4회 3회 2회 1회 0회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전체 지급 소득+우대금리 X 8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6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4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20% 지급 미지급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에는 연령 조건과 소득 조건이 있습니다.

 

연령 조건

청년도약계좌 연령 조건은 만 19~35세 청년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보면 2004~1989년 생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병역이행을 했을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고 그만큼 기간이 늘어납니다. 2년 복무했다면 만 37세도 가입이 가능한 셈입니다.

 

소득 조건

청년도약계좌 소득 조건은 개인소득 연 6,000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인 청년입니다.

개인소득은 근로 소득과 사업 소득 모두 포함합니다. 가구 소득 중위 180%는 1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 세전 374만 원, 2인 가구의 경우 622만 원입니다. 이전에 출시한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소득 요건을 완화했다고 합니다. 

가구소득의 경우 가입 신청자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22 기준)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22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를 충족하여야 합니다. 가구원은 원칙적으로는 가입 신청자의 주민등록등본 기재된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가구원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월 소득 3,740,205원 6,221,079원 7,982,668원 9,721,735원

* 2023년 중위 소득 180% 기준

 

청년도약계좌는 공무원도 가입 가능하다고 합니다. 청년층의 목돈 마련이 목적이라서 소득이 없는 취업 준비생, 대학생 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알바(아르바이트)는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금액

가입금액은 1천원 이상 ~ 70만 원 이하(천 원 단위)로, 적립한도는 연간 840만원 이하(가입일 기준으로 1년)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 금액 (정부 기여금)

지원 금액 (정부 기여금)은 총급여가 적을수록 매칭 비율이 높아져, 월 최대 지급 기여금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총 급여 월 납입 한도 매칭 비율 월 최대 지급 기여금
2,400만원 이하 7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이하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3.7% 2.2만원
6,000만원 이하 3.0% 2.1만원
7,500만원 이하 없음 없음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취급은행 App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하며, 별도서류 없이 비대면으로 개인소득 확인, 가구소득 확인 등의 절차를 진행합니다.

가구소득 확인 진행과정 등에서 추가 서류가 필요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가능?

 정부 지원 상품인 만큼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과거 정부 지원 상품에 비추어보면, 만기 이후 추가 가입이나 갈아타기는 가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 기간 전에 해지하거나 갈아타기를 진행할 때는 중도해지이율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중도해지이율은 처음 가입 시 약속한 이율이 아닌, 중도 해지 시 별도 적용하는 이율을 의미합니다. 만약 올해 6월 대략 1년이 넘은 시점에 중도해지한다면, 기본이율의 90%에 보유일 수를 계약일수로 나눈 금액을 곱한(기본이율의 90% * 보유일 수/계약일수) 중도 해지이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이율의 90%를 유지한 기간에 비례해 적용하겠다는 셈입니다.

 

기간 중도해지이율
3개월 미만 연 0.1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기본이율*50%*보유일수/계약일수
6개월 이상 9개월 미만 기본이율*70%*보유일수/계약일수
9개월 이상 11개월 미만 기본이율*80%*보유일수/계약일수
11개월 이상 기본이율*90%*보유일수/계약일수

*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이율 예시 : 우리은행

* 은행마다 기준이 달라요.

* 정확한 내용은 가입한 은행에서 확인해 주세요.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한 사람들도 청년도약계좌로 쉽게 갈아탈 있도록 정부가 특별중도해지 제도를 만들어 놓는다면 문제가 것은 없다고 봅니다. 현재까지는 구체화된 내용은 없어 2023 중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추후 추가되는 내용은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에 출시되었고 사회 초년생 저소득층 청년들이 자산을 마련할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정부 지원형 적금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비해 혜택은 좋은 편이나 당시 조건이 까다로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공통점

1. 비과세 혜택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공통점은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비과세 혜택은 이자 수익에 세금을 물리지 않기 때문에 돌려받는 금액에 보탬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차이점

1. 가입 대상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가입 대상이 늘어났다는 점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개인소득 36백만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백만 이하인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기준을 완화해서 대상자가 많습니다.

 

2. 만기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기가 2년인 청년희망저축에 비해 만기가 5년으로 깁니다.

 

자세한 비교는 아래 표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상품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대상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미산입)
운영형식 적금투자운용 형태(적금형 등) 선택
(자유적립식)
적금
소득요건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4,800만원 이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개인소득 총 급여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납입금액 최대 40~70만원 최대 50만원
지원금 소득구간에 따라 3.0%, 3.7%, 4.6%, 6.0%
월 지급
1년차 2%, 2년차 4%
만기시 지급
만기 5년 2년
비과세 비과세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개인 소득이 직전 과세 기간(22.1~12월)의 총급여가

개인소득의 경우 직전 과세기간(’22.1~12월)의 총급여가6,000만 원이하* 경우 정부기여금을 지급받고 비과세를 적용받을 있으며,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가 6,000만 원만원 초과7,500만 원**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를 적용받을 있습니다.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기준 4,8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기준6,300만 원이하

 

 

청년도약계좌 마이너스 통장

5년이라는 긴 만기 동안 중도 해지를 막기위한 조치로 마이너스 통장도 개설할 수 있습니다.

하나은행의 경우, 매달 적금 잔액이 늘어나는 만큼, 자동으로 한도를 늘릴 수 있습니다.

은행별로 적금 잔액 대비 한도는 90~100% 차이가 있고, 대출 금리도 차이가 있습니다.

국민은행의 경우, 마이너스 통장 금리는 최고 7.75% 수준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유의점

청년도약계좌가 혜택이 좋아 이득일 있지만, 무조건 가입하는 옳지 않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파격적인 조건으로 예상을 웃도는 가입자를 끌어모았지만, 출시 7개월 만에 30 명이 중도 해지했습니다.

 

1. 5년 동안 해지 없이 완납할 수 있는지 체크해야 합니다.

2. 연 소득 6천만 원 초과 시에는 정부 지원금을 못 받을 수 있습니다.

3. 소득에 따라 최대 납입 금액이 달라서 만기 목돈이 기대한 5천만 원이 아닐 수 있습니다.


오늘 말씀드린 청년도약계좌가 여러분들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도움이 되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청년 도약계좌는 청년 여러분들이 미래에 대비하여 재무적인 안정과 성장을 이룰 있도록 도움을 주는 훌륭한 도구라고 생각하고, 계좌를 통해 여러분은 저축과 투자의 중요성을 깨닫고, 금융 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있게 것이라 확신합니다.

 

반응형